본문 바로가기
건강 지식

질병 감염원에 모든 것: 바이러스, 세균, 곰팡이, 기생충

by Aguide 2024. 8. 20.
반응형

목차

1.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가.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원
  • 나. 소화기 바이러스 감염원
  • 다. 간 바이러스 감염원
  • 라. 피부 바이러스 감염원
  • 마. 전신 바이러스 감염원
  • 바. 신경계 바이러스 감염원

2. 박테리아(세균) 감염원

  • 가. 호흡기 박테리아 감염원
  • 나. 소화기 박테리아 감염원
  • 다. 비뇨기 박테리아 감염원
  • 라. 피부 박테리아 감염원
  • 라. 기타 박테리아 감염원

3. 진균(곰팡이) 감염원

  • 가. 피부 및 점막 진균 감염원
  • 나. 호흡기 진균 감염원
  • 다. 전신 진균 감염원

4. 기생충 감염원

  • 가. 간 기생충 감염원
  • 나. 장 기생충 감염원
  • 다. 혈액 기생충 감염원
  • 라. 피부 및 조직 기생충 감염원
  • 마. 기타 기생충 감염원

감염원
감염원 가이드

1. 바이러스 감염원

가.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Rhinovirus (리노바이러스, 감기) : 195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코와 인후에 감염되어 콧물, 재채기, 인후통을 유발한다.
  • Influenza Virus (인플루엔자 바이러스, 독감) : 1933년에 발견되었으며, 열, 기침, 인후통, 근육통을 동반하는 독감 증상을 일으킨다.
  • SARS-CoV (사스-코브, 사스) : 2002년에 발견되었으며, 사스(SARS)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,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, 기침,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, 심각한 경우 폐렴과 급성호흡곤란증후군(ARDS)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SARS-CoV-2 (사스-코브-2, 코로나19) : 2019년에 발견되었으며, 코로나19(COVID-19)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,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, 기침,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, 심각한 경우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Respiratory Syncytial Virus (RSV,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) : 195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어린이와 노인에서 심한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며, 폐렴과 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다.

나. 소화기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Norovirus (노로바이러스) : 1968년에 발견되었으며, 구토와 설사를 유발하며, 식중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.
  • Rotavirus (로타바이러스) : 1973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어린이에게 설사와 구토를 일으키며, 심한 경우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.
  • Astrovirus (아스트로바이러스) : 1975년에 발견되었으며, 구토와 설사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로, 주로 어린이와 노인에서 발생한다.

다. 간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Hepatitis A Virus (해파티티스 A 바이러스, A형 간염 바이러스) : 1973년에 발견되었으며,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, 간의 염증을 일으킨다.
  • Hepatitis B Virus (해파티티스 B 바이러스, B형 간염 바이러스) : 1965년에 발견되었으며,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, 만성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Hepatitis C Virus (해파티티스 C 바이러스, C형 간염 바이러스) : 1989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되며, 만성 간염과 간경변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Hepatitis D Virus (해파티티스 D 바이러스, D형 간염 바이러스) : 1977년에 발견되었으며, B형 간염 바이러스와 동시 감염될 때 심각한 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Hepatitis E Virus (해파티티스 E 바이러스, E형 간염 바이러스) : 1983년에 발견되었으며,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, 간염을 일으킨다.

라. 피부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Varicella-Zoster Virus (바리셀라-조스터 바이러스, 수두) : 1950년에 발견되었으며, 발진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며, 어린이에게 주로 발생한다.
  • Herpes Zoster Virus (헤르페스 조스터 바이러스, 대상포진) : 1950년에 발견되었으며, 수두 후 재발하며, 피부에 통증과 발진을 유발한다.
  • Human Papillomavirus (휴먼 파필로마 바이러스, 인유두종 바이러스) : 1976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나 점막에 사마귀를 형성한다.
  • Molluscum Contagiosum Virus (몰루스쿰 전염 바이러스, 전염성 연속종 바이러스): 1960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에 작은 구진을 형성하고, 주로 소아에게 발생한다.

마. 전신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(휴먼 이뮤노디피셔언시 바이러스,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) : 1983년에 발견되었으며, 면역 체계를 공격하여 AIDS(후천면역결핍증)를 유발한다.
  • Herpes Simplex Virus (허피스 심플렉스 바이러스, 단순 포진 바이러스) : 1960년에 발견되었으며, 입술이나 생식기에 통증과 물집을 유발한다. HSV-1과 HSV-2 두 가지 유형이 있다.
  • Cytomegalovirus (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) : 195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면역 저하자에서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, 선천성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Epstein-Barr Virus (엡스타인-바르 바이러스) : 1964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감기 증상과 비슷한 질병을 유발하며, 백혈병과 림프종과 관련이 있다.
  • Ebola Virus (에볼라 바이러스) : 1976년에 발견되었으며, 심각한 출혈성 열병을 유발한다. 주요 증상으로는 고열, 출혈, 구토, 설사 등이 있으며, 감염 시 사망률이 매우 높다.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며, 감염된 동물의 혈액이나 체액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.
  • Dengue Virus (뎅기 바이러스, 뎅기열) : 1943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고열, 두통, 근육통, 그리고 출혈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Chikungunya Virus (치쿤구니야 바이러스, 치쿤구니야열) : 1952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고열과 심한 관절통을 초래할 수 있다.
  • Yellow Fever Virus (황열 바이러스, 황열) : 1900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고열, 황달, 출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Zika Virus (지카 바이러스, 지카 바이러스 감염) : 1947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경증의 발열, 발진 및 관절통을 유발하며, 임신 중 감염 시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을 초래할 수 있다.
  • Lassa Virus (라싸 바이러스, 라싸열) : 1969년에 발견되었으며, 감염된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어 고열, 두통, 근육통, 출혈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.

바. 신경계 바이러스 감염원

  • Poliovirus (폴리오바이러스, 폴리오) : 1908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신경계에 감염되어 마비를 유발한다.
  • Rabies Virus (레이비스 바이러스, 광견병 바이러스) : 1885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감염된 동물의 물림을 통해 전파되어 치명적인 뇌염을 유발한다.
  • West Nile Virus (웨스트 나일 바이러스) : 1937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뇌염이나 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Japanese Encephalitis Virus (일본 뇌염 바이러스, 일본 뇌염) : 1935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어 뇌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Enterovirus (척수성 근위축증 바이러스) : 1960년에 발견되었으며, 일부 유형은 신경계에 감염되어 중추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Cytomegalovirus (시토메갈로바이러스) : 195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면역 저하자에서 신경계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.

2. 박테리아(세균) 감염원

가. 호흡기 박테리아 감염원

  • Streptococcus pneumoniae (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에, 폐렴구균) : 1881년에 발견되었으며, 폐에 감염을 일으켜 기침, 발열, 호흡곤란 등을 유발한다.
  • Haemophilus influenzae (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,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) : 1892년에 발견되었으며, 폐와 중이염에 감염을 일으킨다.
  • Mycobacterium tuberculosis (마이코박테리움 튜버쿨로시스, 결핵균) : 1882년에 발견되었으며, 폐를 주로 감염시키며, 장기적으로 기침과 체중 감소를 유발한다.
  • Bordetella pertussis (보르데텔라 퍼투시스, 백일해균) : 1906년에 발견되었으며, 심한 기침 발작을 동반하며, 호흡기 계통에 감염을 일으킨다.
  • Pseudomonas aeruginosa (프시도모나스 에루기노사, 녹농균): 1882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병원에서 호흡기 감염, 요로 감염, 폐렴, 혈액 감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.

나. 소화기 박테리아 감염원

  • Salmonella (살모넬라, 살모넬라) : 1885년에 발견되었으며,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, 설사와 구토를 유발한다.
  • Escherichia coli (에셰리히아 콜라이, 대장균) : 1885년에 발견되었으며, 설사와 복통을 유발하며, 식중독의 원인이다.
  • Helicobacter pylori (헬리코박터 파일로리) : 1982년에 발견되었으며, 위와 십이지장에 감염되어 위염, 궤양 등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Campylobacter jejuni (캠필로박터 제주니) : 1980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감염되며, 설사와 복통을 유발한다.
  • Listeria monocytogenes (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) : 1926년 발견되었으며, 주로 오염된 음식물(특히 유제품과 가공식품)을 통해 감염되고,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Campylobacter spp. (캄필로박터, 캠프ylobacter): 1972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된다. 장염을 유발하며, 발열, 복통,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.

다. 비뇨기 박테리아 감염원

  • Escherichia coli (에셰리히아 콜라이, 대장균): 1885년에 발견되었으며, 요도와 방광에 감염을 일으키고 배뇨 시 통증과 빈뇨를 유발하며, 신장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.
  • Proteus mirabilis (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, 프로테우스 균): 1952년에 발견되었으며, 신장에 감염을 일으키고 고열과 허리 통증을 유발하며, 요로 결석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.
  • Klebsiella pneumoniae (클렙시엘라 뉴모니에, 클렙시엘라균): 1886년에 발견되었으며, 폐렴, 요로 감염, 복부 감염을 유발하며,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심각한 감염을 초래할 수 있다.
  • Neisseria gonorrhoeae (나이세리아 고노로에, 임질균): 1879년에 발견되었으며,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, 비뇨기계 및 생식기에 감염을 일으키고 배뇨 시 통증과 분비물을 유발할 수 있다.

라. 피부 박테리아 감염원

  • Staphylococcus aureus (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, 황색포도알균) : 1884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 감염으로는 고름집, 봉와직염, 괴사성 피부염 등이 있으며, 심한 경우 혈류 감염이나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.
  • Streptococcus (스트렙토코쿠스, 연쇄상구균) : 1884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와 피부밑조직에 감염을 일으켜 붓고, 통증을 유발한다.
  • Propionibacterium acnes (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, 피부 아크네균) : 189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여드름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이다.

마. 기타 박테리아 감염원

  • Bartonella henselae (바르토넬라 헨셀라에) : 1992년에 발견되었으며, 캣 스크래치 열을 유발한다. 고양이의 상처나 긁힘을 통해 전파되며, 발열, 림프절 확대 등의 증상이 있다.
  • Bartonella bacilliformis (바르토넬라 바코프티) : 1905년에 발견되었으며, 카리오모네시스를 유발한다. 급성열병과 만성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하며, 주로 남미에서 발생한다.
  • Bartonella quintana (바르토넬라 퀴네라) : 1915년에 발견되었으며, 발진티푸스를 유발한다. 발열, 두통, 근육통이 주요 증상으로, 역사적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발생한 질병이다.
  • Bartonella elizabethae (바르토넬라 엘리손지) : 1993년에 발견되었으며, 심내막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. 발열, 피로감, 심장 염증 등이 주요 증상이다.

3. 진균(곰팡이 류) 감염원

가. 피부 및 점막 감염원

  • Tinea pedis (티니아 페디스, 무좀) : 1846년에 발견되었으며, 발에 발생하는 곰팡이 감염으로, 가려움증과 발진을 유발하며, 피부가 벗겨지거나 갈라질 수 있다.
  • Tinea corporis (티니아 코포리스, 체부백선) : 1846년에 발견되었으며, 체부에 발생하는 곰팡이 감염으로, 원형의 발진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.
  • Candida albicans (칸디다 알비칸스, 칸디다) : 1923년에 발견되었으며, 구강, 질, 피부 등에 감염을 일으키며, 가려움증과 염증을 유발하고, 심한 경우 백색의 치즈 같은 분비물이 나타날 수 있다.
  • Dermatophytes (더마토피테스, 피부사상균) : 1845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, 머리카락, 손톱에 감염을 일으키며, 발진과 탈모를 유발한다. 주요 종류로는 Trichophyton(트리코파이톤), Microsporum(마이크로스포럼), Epidermophyton(에피더모파이톤)이 있다.

나. 호흡기 감염원

  • Aspergillus spp. (아스페르길루스 속, 아스페르질루스) : 1729년에 발견되었으며, 폐에 감염되어 기침, 호흡곤란을 유발하며,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서 심각한 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Cryptococcus neoformans (크립토코쿠스 네오포르만스, 크립토코쿠스) : 1894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폐와 중추신경계에 감염을 일으키며,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치명적인 뇌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Blastomyces dermatitidis (블라스토미세스 더마티디디스, 피부모세포진균) : 1894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폐에 감염되며, 발열, 기침, 흉통을 유발하고, 만성적인 폐 감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.

다. 전신 감염원

  • Histoplasma capsulatum (히스토플라스마 캡슐라툼, 히스토플라스마) : 190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폐에 감염되며, 심한 경우 전신으로 퍼져 림프절과 간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Coccidioides immitis (코클리디움 이미티스, 코클리디움) : 189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폐에 감염되어, 발열과 기침을 유발하며,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. 특히 미국 남서부 지역에서 자주 발견된다.
  • Paracoccidioides brasiliensis (파라코키디움 브라질렌시스, 파라코키디움) : 1908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폐에 감염되며, 전신으로 퍼져 피부, 림프절, 점막에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. 주로 남미에서 발생한다.

4. 기생충 감염원

가. 간 기생충 감염원

  • Clonorchis sinensis (클로노키스 시넨시스, 간 디스토마) : 1880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간과 담도에 기생한다. 복통, 소화 불량, 황달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장기간 감염 시 담관염, 담석증, 간경변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. 감염이 심각해지면 간 이외의 장기로 확산될 수 있다.
  • Fasciola hepatica (파시올라 헤파티카, 간흡충) : 1835년에 발견되었으며, 간과 담도에 기생한다. 복통, 발열, 황달을 유발하며, 장기간 감염 시 간경변이나 담관염을 유발할 수 있다. 이 기생충 역시 감염이 심각해지면 다른 장기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
나. 장 기생충 감염원

  • Ancylostoma duodenale (앤킬로스토마 두오덴알레, 십이지장충) : 1835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소장에 기생하지만, 빈혈과 복통을 유발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혈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  • Necator americanus (네카토르 아메리카누스, 십이지장충) : 1855년에 발견되었으며, 소장에 기생하며 빈혈과 복통을 유발한다. 이 기생충도 장기적으로 혈류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  • Ascaris lumbricoides (아스카리스 룸브리코이데스, 회충) : 1758년에 발견되었으며, 소장에 기생하며 복통, 구토, 장폐색 등을 유발할 수 있다. 회충은 장에서 기생하다가 장기나 폐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.
  • Trichuris trichiura (트리키루스 트리키우라, 편충) : 1758년에 발견되었으며, 대장에 기생하며 복통, 설사, 체중 감소 등을 유발한다.
  • Enterobius vermicularis (엔테로비우스 벌미큘라리스, 요충) : 1681년에 발견되었으며, 대장과 직장에 기생하며, 주로 어린이에게서 가려움증과 복통을 유발한다. 가려움증은 특히 항문 주위에서 발생한다.

다. 혈액 기생충 감염원

  • Plasmodium spp. (플라스모디움 속, 말라리아 원충) : 1880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고열, 오한, 발한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. 이 기생충은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되지만, 심각한 경우 다른 장기로 퍼질 수 있다.
  • Babesia spp. (바베시아 속, 바베시아) : 1888년에 발견되었으며, 진드기를 통해 전파되며 발열, 빈혈, 권태감 등을 유발한다. 혈액 내에서 기생하지만, 심각한 경우 전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.

라. 피부 및 조직 기생충 감염원

  • Strongyloides stercoralis (스트롱길로이데스 스테르코랄리스, 미국충) : 1876년에 발견되었으며, 피부와 장에 기생하며 발진, 복통을 유발한다. 감염이 심각할 경우 피부 외의 다른 조직으로 확산될 수 있다.
  • Ancylostoma caninum (앤킬로스토마 카니넘, 선충) : 1856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피부를 통해 감염되며, 피부 발진과 가려움증을 일으킨다. 감염이 심각해지면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.
  • Onchocerca volvulus (온코체르카 볼부루스, 강엘리간스) : 1875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진드기를 통해 전파되며 피부 발진과 실명 등을 유발할 수 있다. 이 기생충은 피부를 넘어 전신으로 퍼질 수 있다.
  • Loa loa (로아 로아, 로아충) : 1770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피부에 통증과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. 감염이 심각해지면 다른 장기로 이동할 수 있다.

마. 기타 기생충 감염원

  • Trichinella spiralis (트리키넬라 스피랄리스, 선모충) : 1835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날것의 고기를 통해 감염되며 근육통과 발열을 유발한다. 장에서 기생하다가 근육으로 이동하여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.
  • Wuchereria bancrofti (우쿠레레리아 뱅크로프티, 필라리아증 원충) : 1866년에 발견되었으며, 모기를 통해 전파되며 림프계를 감염시켜 림프부종을 유발한다. 림프계와 관련된 여러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  • Filaria spp. (필라리아 속, 필라리아) :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, 림프계에 감염되어 림프부종, 발열 등을 유발할 수 있다.
  • Angiostrongylus cantonensis (안지오스트롱길루스 칸톤엔시스, 광동주혐선충) : 1935년에 발견되었으며, 주로 쥐의 폐에 기생하며, 인간에게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으로 전파된다.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두통, 발열, 구토 등을 유발하며, 심각한 경우 수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