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간경변 이란
간경변(Liver Cirrhosis)은 간에 반복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간 조직이 딱딱하고 섬유화된 조직으로 변하는 만성질환이다. 간경변이 심화되면 간 기능이 점점 떨어지면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. 간경변 자체가 암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, 간경변 환자는 간암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훨씬 높아지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간암을 조기 발견하고 치료해야 한다.
2. 간경변의 종류
- 알코올성 간경변 : 장기간 과도한 음주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고 섬유화가 진행된다.
-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경변 : 비만, 당뇨병, 대사증후군 등에 의해 발생하며, 지방간이 악화되어 섬유화가 진행된 형태이다.
- 바이러스성 간경변 : 만성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어 발생한다.
- 담즙성 간경변 : 담관 폐쇄나 담즙 정체로 인해 간이 손상되며,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으로 나뉜다.
- 대사성 간경변 : 윌슨병이나 혈색소증과 같이 대사 이상으로 인해 간에 철분 또는 구리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발생한다.
- 자가면역성 간경변 : 자가면역 간염으로 인해 간세포가 면역체계의 공격을 받아 손상되고 섬유화가 진행된다.
3. 간경변의 증상
- 피로 및 전신 쇠약 : 간 기능 저하로 에너지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쉽게 피로를 느낀다.
- 황달 : 간에서 빌리루빈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변한다.
- 복수 : 문맥 고혈압으로 인해 복강 내 체액이 증가하여 배가 불룩해진다.
- 거미양 혈관종 : 피부에 거미 모양의 붉은 혈관 병변이 나타날 수 있다.
- 간성뇌증 : 간 기능 저하로 암모니아 수치가 증가하여 의식 저하, 집중력 저하, 혼수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.
- 멍이 잘 들고 잇몸 출혈 : 간에서 혈액 응고 인자 생성이 감소하면서 출혈이 쉽게 발생한다.
4. 간경변의 진단
- 혈액 검사 : 간 기능 검사(AST, ALT, ALP, GGT), 빌리루빈, 알부민 수치 등을 확인하여 간 손상 여부를 평가한다.
- 혈액 응고 검사(PT, INR) : 간에서 생성되는 응고인자 기능을 평가하여 간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.
- 복부 초음파 : 간의 크기, 섬유화 정도, 복수 여부 등을 확인하는 1차적 영상 검사이다.
- 간 탄성 초음파(Fibroscan) : 간의 섬유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간경변 진행 단계를 파악한다.
- CT 및 MRI 검사 : 간암 동반 여부, 간 혈류 상태, 문맥 고혈압 평가를 위해 시행할 수 있다.
- 간 조직 검사 : 확진이 필요할 경우 간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섬유화 상태를 확인한다.
5. 간경변의 원인
- 만성 음주 : 장기간 과도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된다.
- 바이러스성 간염 :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만성화되면서 간 섬유화를 유발한다.
-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: 비만, 당뇨병, 대사증후군 등에 의해 지방간이 악화되어 간경변으로 진행될 수 있다.
- 자가면역 간염 : 면역체계 이상으로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공격받아 손상된다.
- 유전적 대사 질환 : 윌슨병, 혈색소증과 같이 철분이나 구리가 간에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간 손상을 유발한다.
- 담즙 정체 질환 : 담즙 배출 장애로 인해 간 손상이 발생하며,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및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 포함된다.
6. 간경변의 치료
- 기저 질환 치료 : 간경변의 원인을 교정하여 진행을 늦춘다.
- 약물 치료 : 간섬유화 억제제, 항바이러스제(B형·C형 간염) 등을 사용한다.
- 생활습관 개선 : 금주, 식이조절,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간 건강을 유지한다.
- 간성뇌증 치료 : 락툴로오스 등으로 암모니아 수치를 조절한다.
- 문맥압 감소 치료 : 베타차단제,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(EVL) 등을 시행한다.
- 간이식 : 간경변이 말기로 진행된 경우 간이식이 유일한 근본적 치료법이다.
7. 간경변의 예방
- 금주 : 알코올성 간경변 예방을 위해 술을 자제한다.
- B형·C형 간염 예방 : B형 간염 백신 접종 및 안전한 성생활, 혈액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.
- 건강한 식습관 유지 : 가공식품, 고지방 음식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채소와 단백질을 섭취한다.
- 운동 및 체중 관리 : 비만과 대사증후군을 예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진행을 막는다.
- 정기 건강검진 : 간 수치 및 간섬유화 진행 정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한다.
- 약물 오남용 방지 : 간독성이 있는 약물(예: 아세트아미노펜) 남용을 피한다.
8. 간경변의 합병증
- 간부전 : 간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체내 독소를 해독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.
- 간암 : 간경변 환자는 간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.
- 문맥 고혈압 : 간 혈류 저항 증가로 인해 식도정맥류, 복수 등이 발생한다.
- 간성뇌증 : 간 기능 저하로 암모니아 수치가 증가하여 의식 혼란, 혼수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.
- 복수 및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: 복강 내 체액이 증가하여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.
- 신장 기능 저하(간신증후군) : 간경변 진행으로 신장 기능이 악화될 수 있다.
9. 간경변의 관리
- 정기 검진 : 간암 조기 발견을 위해 초음파 검사 및 혈액 검사(AFP) 등을 시행한다.
- 식이요법 : 저염식과 단백질 균형을 맞춘 식사를 유지한다.
- 약물 복용 관리 : 간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복용한다.
- 복수 관리 : 저염식, 이뇨제 사용, 복수 천자 등을 통해 복수 진행을 조절한다.
- 운동 및 생활습관 개선 :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력을 유지하고 간 건강을 관리한다.
- 금주 및 간 독성 물질 회피 : 알코올 및 간에 해로운 약물, 화학물질 노출을 최소화한다.
10. 간경변에 좋은 음식과 식습관
- 과일과 채소 :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간 기능을 지원한다.
- 저염식 : 나트륨 섭취를 줄여 복수와 부종을 예방한다.
- 고단백 식사 : 간 기능 회복을 도와주는 단백질이 필요하다.
- 정제된 곡물 : 섬유질이 많아 소화와 배설에 도움을 준다.
- 건강한 지방 : 올리브유, 아보카도 등 건강한 지방을 섭취한다.
- 충분한 수분 섭취 :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 간 기능을 지원한다.
11. 간경변에 나쁜 음식과 식습관
- 고염식 : 나트륨이 많은 음식은 복수와 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다.
- 지방이 많은 음식 : 튀긴 음식이나 고지방 식품은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다.
- 알코올 : 간에 해로우므로 완전히 금지하는 것이 좋다.
- 정제된 설탕과 가공식품 :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다.
- 붉은 고기 : 과도한 섭취는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다.
- 고칼로리 음식 : 비만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간경변을 악화시킬 수 있다.
12. 간경변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간경변은 완치가 가능한가요?
간경변은 완치가 어렵지만,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진행을 늦출 수 있다.
Q2. 간경변의 초기 증상은 무엇인가요?
초기에는 피로감, 복부 팽만, 피부 및 눈의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.
Q3. 간경변이 있는 경우 어떤 식습관이 좋나요?
저염식, 고단백 식사, 충분한 비타민과 미네랄 섭취가 권장된다.
Q4. 간경변의 치료는 어떤 방법이 있나요?
약물 치료, 생활 습관 조정, 체중 관리, 심각한 경우 간 이식 등이 포함된다.
Q5. 간경변 예방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?
정기 검사, 건강한 식사, 적절한 음주, 체중 관리 등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.
반응형
'건강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맥류성 궤양에 모든 것: 증상에서 치료까지 (0) | 2024.08.26 |
---|---|
버거씨병에 모든 것: 증상에서 치료까지 (0) | 2024.08.26 |
대동맥판막 협착증에 모든 것: 증상에서 치료까지 (0) | 2024.08.25 |
대동맥 팽창증에 모든 것: 증상에서 치료까지 (0) | 2024.08.25 |
대동맥 협착증에 모든 것: 증상에서 치료까지 (0) | 2024.08.25 |